티스토리 뷰

집에 새로운 데스크탑이 생겼다...

집에 라즈베리파이 웹서버도 존재하지만!

데스크탑으로 Hadoop 을 설치해보고.. Spark도 설치하고... 아 이제 원격으로 데이터 분석 전용으로 컴퓨터 써야겠다!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문제는 컴퓨터 팬 소리.. 집에 계속 켜둘 수가 없다. 

그럼 외부에서건 내부에서건 접속해서 컴퓨터를 키고 끄자! 이 기능을 iptime에서 지원한다.

http://192.168.0.1/에 접속해보면 WOL 기능을 제공한다.


WOL 에 우분투 컴퓨터의 Mac 주소를 입력한다.

Mac 주소는 ssh로 접속해서 ifconfig로 확인하면된다. ( 아니면 직접 우분투를 키고 터미널에서 ifconfig를 해본다. )

ifconfig가 여러개 뜬다면 그중 공유기에 물려있는 것을 잘 판단해야한다.


ifconfig시 HWaddr 에서 mac adress를 찾아서  iptime의 WOL에 추가해준다. 나는 ubuntu라는 이름으로 추가해주었다.

PC켜기쪽에 체크하고 PC켜기 버튼을 누르면 PC가 켜져야한다.


설정하고 컴퓨터를 끄고 노트북으로 PC를 원격으로 키려고 했지만 켜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컴퓨터가 꺼졌을 때도 LAN카드가 신호가오면 컴퓨터가 켜지도록 대기를 시켜놓아야한다더라.


그래서 결국 간단히 설정할줄 알았지만.. 구글링 ㄱㄱ. 뭐 우분투를 쓰시는분들 이라면 대부분 구글링 쯤이야 껌이겠지만 적어보겠다.


일단 BIOS에서 OS와 설정해야한다. BIOS 세팅마다 다 다르므로.. 참고 :  http://peepleware.com/home/13857

Window의 경우 위 사이트나 이사이트 (참고) : http://m.blog.naver.com/ktw5780264/220363298803

에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다.

그렇다면 바이오스 세팅후 어떠한 세팅을 ubuntu에서 해주어야할까 ?

ubuntu에 magic packet을 사용한다고 세팅해야한다.

$ sudo ethtool <NIC>

커맨드에 이렇게 치면된다 <NIC>는  ifconfig시 빨간 부분. 랜 이름이다.

 하지만 저 command를 한번만 실행시키면 리붓하고 다시 실행히켜줘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LAN setting에서 셋업 해주어야한다.

/etc/network/interfaces 에서 드라이버 세팅을 할 수 있다. (고정 아이피 설정 등)

맨 아래 줄에

enp1s0는 <NIC>를 뜻하고

dhcp는 동적ip 할당을 뜻함. 고정ip할당은  dhcp대신 static과 다른 정보들을 추가로 입려해주어야함.

고정아이피는 여기를 참고해서 세팅하시고.. (참고 : http://webdir.tistory.com/188 )

결론은 up ethanol -s <NIC> wol g 로 세팅을 <NIC>에 해줘야 iptime에서 컴퓨터를 켰을 때 컴퓨터를 끌수 있다.

모든 세팅은 끝났다. 내부에서 다른 컴퓨터나 핸드폰을 이용해 iptime에 접속하여 우분투가 깔린 컴퓨터를 켰다 꼈다 할수 있다.



외부에서 컴퓨터 껐다 키기 접속하기 

일단 iptime으로 외부에서 접속 가능 하도록 DDNS를 설정한다.

iptime 펌웨어 버전이 낮으면 DDNS사용 불가하니 펌웨어 업그레이드 해야한다.

DDNS란. 동적 ip를 사용하는경우, iptime의 서브도메인 ( ***.iptime.org )를 통해 ip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인터넷을 사용하면 동적 ip를 사용한다.


그러면 적혀있는 DDNS 주소로 접속한다면... 접속 할수 있다.

하지만 나는 DMZ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가 사용하는 웹서버로 들어가게된다.

그렇다면 공유기로는 어떻게 접속할까? 포트를 다른 포트로 접속시키면된다.


원격관리 포트 사용하면됨 ㅎㅎ

그럼 외부에서 http://자기가적어놓은.iptime.org:1234/ 로 1234 포트로 접속하면됨. 내가 1234로 한거지 다른포트로 할사람들은 다른포트를 쓰는게 좋다.


ssh로 우분투 외부에서 접속은

http://blog.rakjoon.net/entry/서버에-ssh-설치


외부에서 막혀있는 접근 포트가 존재 할 수 있기때문에 확인해보고 포트 변경까지 필요하면 하는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끄는법

$ sudo poweroff

입력하면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